월급에서 빠지는 4대보험, 도대체 얼마나 빠질까요?
명세서를 보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이라는 항목이 보이지만, 각 항목이 얼마만큼 공제되는지, 실제 월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4대보험 각 항목의 공제율과 실제 공제 금액 계산 방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 아직 4대보험이 무엇인지 헷갈린다면 먼저 1편부터 확인해보세요
통상임금 시리즈 최종정리 – 개념, 계산, 판례, 신고까지 한눈에 보는 요약본
통상임금, 아직도 헷갈리시나요?근로시간과 상관없이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수당이 수당 계산과 퇴직금, 심지어 법적 분쟁까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이번 마지막 글에서는 통상
carstorys.tistory.com
항목 | 공제 비율 (근로자 부담) | 비고 |
---|---|---|
국민연금 | 4.5% | 사업주도 4.5% 부담 → 총 9% |
건강보험 | 3.545% | 2024년 기준, 사업주 동일 부담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료의 12.81% |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부과 |
고용보험 | 0.9% | 사업주 부담분 별도 (최대 1.75%) |
산재보험 | 0% | 전액 사업주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
항목 | 계산 | 공제 금액 |
---|---|---|
국민연금 | 3,000,000 × 4.5% | 135,000원 |
건강보험 | 3,000,000 × 3.545% |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 106,350 × 12.81% | 13,621원 |
고용보험 | 3,000,000 × 0.9% | 27,000원 |
총 공제액 | 281,971원 |
👉 실수령액 = 3,000,000원 - 281,971원 = 약 2,718,029원
4대보험은 ‘과세 대상 금액’에 대해 공제되므로, 비과세 수당이 많을수록 공제액은 줄어듭니다.
※ 단, 허위 비과세 처리는 불법이며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
A. 네, 대부분 **급여액(과세표준)**에 따라 공제액이 커집니다. 일부 상한선은 존재합니다.
A. 단기적으로는 그렇지만, **퇴직 후 연금·의료비·실업급여 등 보장 혜택이 사라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손해**입니다.
A. **비과세 항목을 활용하거나, 적정한 세무 설계**를 통해 조절 가능합니다. 하지만 고의적 회피는 불법입니다.
A. **산재보험은 사업주 100% 부담 항목**이라 근로자 월급에서는 공제되지 않습니다.
A. 일정 조건(주 15시간 이상, 1개월 이상 근무 등) 충족 시 공제 대상이 됩니다. 사업장이 가입 여부를 결정할 수 없습니다.
4대보험 공제는 급여의 약 9~10% 수준으로, 실수령액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정확한 계산과 이해는 월급 관리를 위한 첫걸음이며, 비과세 항목과 공제 기준을 잘 알아두면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합니다.
다음 3편에서는 “실수령액 계산 공식과 비과세 항목 정리”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월급 내역을 파헤쳐보겠습니다!
연봉별 실수령액표 – 4대보험 공제 후 실제 내 통장에 찍히는 월급은? (2) | 2025.05.01 |
---|---|
근로형태별 4대보험 차이 – 정규직, 아르바이트, 프리랜서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01 |
실수령액 계산법과 비과세 수당 총정리 – 내 월급 어디로 갔을까? (1) | 2025.05.01 |
4대보험이란? 종류별 특징과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총정리 (2)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