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토리

반응형

 

4대 보험이란?

 

“월급에서 4대보험으로 빠지는 돈, 도대체 왜 이렇게 많죠?”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겪는 4대보험 공제. 하지만 정작 4대보험이 어떤 것인지, 어디에 쓰이는지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4대보험의 종류, 각 보험의 기능과 특징, 가입 대상까지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을 정리해드립니다.


✔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국가에서 법적으로 의무화한 사회보험 4가지로, 국민의 생계·의료·실업·산재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사업주는 근로자와 함께 매월 일정 비율의 보험료를 부담하며, 근로자는 급여에서 해당 금액을 공제당합니다.


✔ 4대보험 종류 요약

보험명 주요 목적 관리 기관
국민연금 노후 생활보장 (연금 지급)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 의료비 보장 (병원비 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용보험 실업급여, 직업훈련 지원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 업무 중 재해 치료 및 보상 근로복지공단

✔ 각 보험의 핵심 특징

① 국민연금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이면 대부분 가입 대상.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납부하면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의 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

② 건강보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보험. 병원 진료, 입원, 약값 등에 사용되며, 건강보험료에는 장기요양보험료도 포함되어 공제됩니다.

③ 고용보험

실업 시 실업급여 지급, 재취업을 위한 직업훈련비 지원 등이 목적입니다. 자발적 퇴사 시 수급 조건이 제한됩니다.

④ 산재보험

업무 중 다치거나 사망했을 때 치료비와 보상을 지원합니다. 사업주 전액 부담이 원칙이며, 근로자 급여에서는 공제되지 않습니다.


✔ 누가 가입 대상인가요?

  • 정규직 근로자: 의무 가입
  • 계약직/알바: 일정 근무 시간 초과 시 가입 대상
  • 프리랜서/사업자: 국민연금, 건강보험은 지역가입자로 별도 납부

※ 사업주가 4대보험 가입을 누락하거나 보험료를 체납하면 과태료 및 불이익이 따를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4대보험을 꼭 가입해야 하나요?

A. 근로기준법상 일정 요건 충족 시 사업주는 의무적으로 가입시켜야 합니다.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Q2. 산재보험은 왜 급여에서 안 빠지나요?

A. 산재보험은 사업주 100% 부담 항목이기 때문에 근로자 급여에서는 공제되지 않습니다.

Q3. 프리랜서도 4대보험을 내야 하나요?

A. 고용형태에 따라 다릅니다. 계약조건상 상시근로자로 간주되면 가입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지역가입자로 개별 납부합니다.

Q4. 아르바이트도 4대보험 대상인가요?

A. 네, 1개월 이상,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가입 대상이 됩니다.

Q5. 4대보험 가입 여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https://www.4insure.or.kr)에서 통합 조회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4대보험은 단순히 '월급에서 빠지는 돈'이 아닌, 나와 가족의 미래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입니다.

다음 2편에서는 각 항목별 공제율과 급여에서 빠지는 금액을 표로 정리해드릴 예정입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