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토리

반응형

4대보험 공제 후 실제 월급

 

 

“연봉 3천인데 월급은 왜 200만원대 초반이죠?”

취업 후 가장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 명세서상 금액과 실제 입금액은 큰 차이가 있고, 그 이유는 바로 4대보험과 세금 공제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봉별로 실제 통장에 찍히는 월급, 즉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해드립니다. 4대보험과 세금이 얼마씩 빠지는지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이란 세전 급여(총 지급액)에서 4대보험 및 세금을 공제한 후 실제 입금되는 금액입니다.

  • 총지급액(세전 월급)
  • - 국민연금 (4.5%)
  • - 건강보험 (3.545%)
  •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81%)
  • - 고용보험 (0.9%)
  • - 소득세 + 지방소득세
  • = 실수령액

✔ 연봉별 실수령액표 (2024년 기준)

연봉 세전 월급 예상 공제액 실수령액(월)
24,000,000원 2,000,000원 약 195,000원 약 1,805,000원
30,000,000원 2,500,000원 약 240,000원 약 2,260,000원
36,000,000원 3,000,000원 약 315,000원 약 2,685,000원
42,000,000원 3,500,000원 약 390,000원 약 3,110,000원
48,000,000원 4,000,000원 약 470,000원 약 3,530,000원
60,000,000원 5,000,000원 약 635,000원 약 4,365,000원

* 공제액은 1인 가구 기준, 비과세 제외 시 평균치이며 회사 사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월급 기준 실수령액 예시

  • 월급 2,200,000원 → 약 1,990,000원 수령
  • 월급 2,800,000원 → 약 2,520,000원 수령
  • 월급 3,200,000원 → 약 2,880,000원 수령
  • 월급 4,500,000원 → 약 3,900,000원 수령

✔ 비과세 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회사에서 식대(10만 원), 자가운전보조비(20만 원) 등을 비과세 항목으로 지급하면 해당 금액은 4대보험 및 소득세 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즉, 실수령액은 증가합니다.


✔ 실수령액 확인은 어디서?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세전 기준 월급 300만 원이면 세후 얼마 받나요?

A. 공제액 약 31만 원 기준, 실수령액은 약 269만 원 수준입니다.

Q2.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는 왜 이렇게 큰가요?

A. 4대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등으로 약 10~15%가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Q3. 비과세 수당이 많으면 세후 월급이 늘어나나요?

A. 네, 비과세 항목은 공제에서 제외되므로 실수령액이 증가합니다.

Q4. 공제액은 회사마다 다른가요?

A. 기본 비율은 동일하지만, 복리후생 정책이나 근로시간 등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Q5. 실수령액이 너무 적은데 최저임금 위반 아닌가요?

A. 최저임금은 '세전 금액' 기준입니다. 실수령액과 직접 비교할 수 없습니다.


✔ 마무리 요약

연봉이 높아도 실제 받는 월급은 생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비과세 수당이나 공제 최적화만 잘해도 실수령액을 늘릴 수 있습니다.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다음 편에서는 ‘4대보험 미가입 시 불이익과 신고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