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바이트를 해본 적 있다면 ‘주휴수당’이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정확한 의미나 계산법을 모르면 당연히 받아야 할 수당을 놓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정확한 개념과 조건, 계산기 사용법까지 실전 예시와 함께 쉽고 명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알바생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 지금부터 함께 확인해보세요.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근로자가 성실하게 소정 근로일을 채운 경우, 추가로 받는 ‘유급 휴일 수당’입니다. 즉,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급여를 더 주는 제도입니다.
주휴수당은 1주일 기준 ‘1일치 임금’을 추가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주휴수당 = (1일 근무시간 × 시급)
※ 주휴수당은 월급이 아닌 ‘주 단위’로 발생합니다.
복잡한 계산 없이 클릭 몇 번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사이트명 | 주요 기능 | 바로가기 |
---|---|---|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 근무일수, 시급 입력 시 자동 계산 | 이동하기 |
잡코리아 시급 계산기 | 주휴수당 포함 시급 자동 계산 | 이동하기 |
※ 모바일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아르바이트생에게 유용합니다.
A. 보통 주말 알바는 주 15시간을 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지급 대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주중 포함해 근무 시간을 늘려야 해당됩니다.
A. 주휴수당은 ‘소정 근로일’을 모두 이행해야 발생합니다. 1회라도 결근 시 해당 주차의 주휴수당은 지급되지 않습니다.
A. 주휴수당은 법적 의무사항입니다.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에 해당하며, 고용노동부에 진정 접수할 수 있습니다.
급여 명세서가 없다면,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권리가 있다는 것도 기억하세요.
주휴수당은 선택이 아니라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계산 방법과 조건을 제대로 알고 정당한 수당을 꼭 받으세요. 특히 1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모든 알바생에게 해당되므로 꼭 확인해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업급여 조건과 신청 방법에 대해 상세히 소개할 예정이니, 이어서 확인해보세요!
퇴직금 지급 기준과 중간정산 가능한 경우 총정리 (2025 최신판) (0) | 2025.04.30 |
---|---|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과 4대보험 공제 계산법 완벽 정리 (1) | 2025.04.30 |
2025 시급계산기 사용법과 주휴수당 완벽 계산법 정리 (0) | 2025.04.30 |
2025년 퇴직금 계산기 사용법과 정확한 계산 방법 총정리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