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토리

반응형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법 및 4대보험 적용 실 수령액

 

매달 월급이 들어와도 “왜 생각보다 적지?”라고 느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것은 바로 4대보험 등 각종 공제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통장에 찍히는 금액, 즉 실수령액을 정확히 예측하려면 실수령액계산기를 꼭 활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실수령액계산기 사용법과 함께 2025년 기준 4대보험 공제 계산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회사원, 아르바이트생, 프리랜서까지 모든 직군에서 필수로 알아야 할 정보!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 실수령액이란?

실수령액이란 급여에서 세금 및 4대보험 등을 공제하고 실제로 통장에 입금되는 금액입니다. 보통 구직자나 직장인들이 “내가 월급을 얼마 받을 수 있을까?”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기준이죠.

급여 항목 예시

  • 지급 항목: 기본급, 식대, 수당 등
  • 공제 항목: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 실수령액 = 총지급액 - 공제액


✔ 4대보험 공제 항목 및 계산법

항목 공제율 (근로자 부담) 계산 방법
국민연금 4.5% 월급 × 4.5%
건강보험 3.545% 월급 × 3.545%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12.81% 건강보험료 × 12.81%
고용보험 0.9% 월급 × 0.9%

예시: 월급 3,000,000원일 경우

  • 국민연금: 135,000원
  • 건강보험: 106,350원
  • 장기요양보험: 약 13,626원
  • 고용보험: 27,000원
  • 총 공제액: 약 282,000원
  • 실수령액: 약 2,718,000원 (세금 제외 기준)

※ 세금(소득세, 지방세)은 연봉 및 부양가족 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 실수령액계산기 추천 사이트

사이트명 특징 바로가기
네이버 급여 계산기 4대보험, 세금 포함 자동 계산 이동하기
사람인 급여 계산기 연봉 vs 월급 비교 제공 이동하기
잡코리아 급여 계산기 부양가족 수 반영 가능 이동하기

✔ 자주 묻는 질문

Q1. 공제 후 급여가 너무 적은데 조정할 수 없나요?

A. 4대보험은 법적으로 정해진 비율로 공제되므로 개인이 조정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비과세 항목(식대, 차량유지비 등)을 활용하면 실수령액을 조금 늘릴 수 있습니다.

Q2. 프리랜서도 실수령액 계산이 가능한가요?

A. 프리랜서는 4대보험이 자동 공제되지 않기 때문에, 세후 금액과 사업소득세 등을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별도의 프리랜서 전용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Q3. 실수령액과 연봉 차이가 너무 커요. 왜 그런가요?

A. 연봉은 ‘세전’ 기준이며, 여기에 4대보험 + 세금이 더해져 실제 입금액은 상당히 낮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연봉자일수록 차이가 큽니다.


✔ 마무리

실수령액은 급여 협상, 이직 결정, 생활비 계획 등에서 매우 중요한 기준입니다. 실수령액계산기와 4대보험 공제 항목을 미리 정확히 이해해두면 급여를 제대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주휴수당 계산기와 실업급여 조건」을 중심으로, 근로자의 권리를 지키는 정보들을 이어서 소개하겠습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