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스토리

반응형

 

통상임금 계산기 사용법과 실전 예시

 

 

“통상임금은 알겠는데, 실제로 어떻게 계산하나요?”

수당 계산, 퇴직금 산정 등 실무에서 꼭 필요한 통상임금은 계산 방식이 조금만 틀려도 수십만 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통상임금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과 실제 예시를 통해 계산하는 방법까지 친절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통상임금의 정의와 구성 항목이 궁금하시다면 먼저 1편을 참고해보세요

 

👉 통상임금이란? 구성요소부터 계산기 활용까지 정리 (1편)

 

통상임금이란? 구성요소부터 계산기 활용법까지 한눈에 정리

“통상임금이 뭔가요?”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단순히 ‘기본급’이라고 대답하기엔 부족합니다.통상임금은 연장근로수당, 야근수당, 휴일수당, 퇴직금 등 거의 모든 수당의 기준이 되는 핵심

carstorys.tistory.com

 


✔ 통상임금 계산의 기본 원리

통상임금 = 기본급 + 고정수당 그리고 이를 시간당 임금으로 환산해야 실제 수당 계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통상임금 = (기본급 + 고정수당) ÷ 월 소정근로시간

월 소정근로시간은 주 40시간 기준으로 월 209시간을 기본값으로 사용합니다.


✔ 고정수당 예시 (포함)

  • 정액 교통비 (매달 10만 원 고정)
  • 직책수당, 기술수당 (모든 직원 공통 지급)
  • 정액 야근수당 (월 10시간 고정)

❌ 제외 수당 예시

  • 성과급, 인센티브, 명절상여금
  • 비정기적 식대, 실적수당

✔ 통상임금 계산기 사용법

1. 고용노동부 공식 통상임금 계산기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www.moel.go.kr

 

2. 노동OK 임금 계산기

  • 주소: https://www.nodong.kr/wage
  • 연장·야간·휴일수당까지 포함한 실수령액 시뮬레이션 가능
  • UI가 직관적이고 모바일 사용도 편리함

 


✔ 실전 계산 예시

📌 예시1. 기본급 + 고정수당 포함

  • 기본급: 2,000,000원
  • 직책수당: 200,000원
  • 정액 야근수당: 100,000원
  •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
총 통상임금 = 2,000,000 + 200,000 + 100,000 = 2,300,000원
시간당 통상임금 = 2,300,000 ÷ 209 ≒ 11,004원

📌 예시2. 고정성 없는 수당 포함 시

  • 성과급: 300,000원 (분기별, 실적 기반)
  • → 통상임금 제외!

💡 팁: 정액으로 지급되고, 실적 조건 없이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수당만 통상임금에 포함됩니다.


✔ 통상임금 계산 후 활용 가능한 항목

계산된 시간당 통상임금은 다음과 같은 수당 계산에 바로 사용됩니다:

  • 연장근로수당 = 통상임금 × 1.5 × 연장근로시간
  • 야간근로수당 = 통상임금 × 0.5 × 야간근로시간
  • 휴일근로수당 = 통상임금 × 1.5~2.0 × 휴일근로시간

➡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근로자의 수당도 많아지는 구조입니다.


✔ 마무리

통상임금 계산은 근로자 수당의 출발점입니다. 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은 반드시 포함해 정확하게 계산해야 합니다.

계산기가 어렵다면 고용노동부 제공 도구를 적극 활용해보세요.

📌 다음 3편에서는 ‘통상임금 vs 최저임금 차이’를 집중 비교해드립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