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신청,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시죠?
오늘은 고용보험 가입내역을 조회하고, 실업급여 수급 가능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가장 먼저 자신의 고용보험 가입 이력을 확인해야 합니다.
고용보험 공식 홈페이지(https://www.ei.go.kr)
에 접속하여 다음 경로로 이동하세요.
▶ 여기서 자신의 가입 기간과 이력(상용/일용 여부 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조회할 때,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둘 다 나올 수 있는데, 실업급여는 고용보험 가입 이력만 확인하면 됩니다.
또한 '상용'과 '일용' 구분도 중요한데요.
※ 일용 근로자는 가입기간이 짧거나 불규칙하면 실업급여 수급 요건 충족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자격이력 조회 화면에서 가입 기간을 직접 계산해보세요.
180일을 채웠다면, 실업급여 수급 자격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가끔 이력에 누락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업장이 고용보험 신고를 늦게 한 경우인데요.
정확한 이력 없이 실업급여를 신청하면 심사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조회 후 꼭 꼼꼼히 확인하세요.
A. 네,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실업급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이력이 없는 경우, 수급 자격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A. 네, 최근 18개월 동안 여러 회사에서 일한 경력도 모두 합산됩니다. 단, 고용보험이 정상적으로 가입되어 있어야 합니다.
A. 가능합니다. 단, 일용직은 월별 근무 일수가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에 '18개월 내 180일 이상 근무' 요건을 충족해야 수급할 수 있습니다.
A. 고용보험 고객센터(국번 없이 1350)로 문의하거나,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해 정확한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글 예고: 실업급여 핵심 서류 ‘이직확인서’ 꼭 확인하세요!
(여기에 "실업급여 신청방법 시리즈 요약 이미지" 삽입)
2025년 실업급여 총정리: 수급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4.28 |
---|---|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서 작성부터 실업인정일까지 완벽 정리 (1) | 2025.04.26 |
4대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 방법 (PDF/출력 가능) (1) | 2025.04.26 |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꼭 확인해야 하는 이유 (0) | 2025.04.26 |
실업급여 신청방법 완전 정리 (4대보험 가입확인서 & 이직확인서 조회 포함)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