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월급에는 봉급, 수당, 여비, 성과보수 제도 등이 포함되며, 이 포스팅에서는 봉급에 대한 23년 공무원 월급과 24년 공무원 월급을 비교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24년 공무원은 월급을 얼마나 수령하는지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무원 월급에는 기본 봉급과 수당 14종, 실비변상 4종 등 이 포함됩니다. 다음은 기본 봉급 외 받을 수 있는 수당입니다.
수당 (14종) | 실비변상(4종) |
---|---|
상여수당 3종 1. 대우공무원 수당 (월급의 4.1%) 2. 정근수당( 월급의 0~50%, 연 2회) *정근수당 가산금 (월 5~15만원, 근무연수 5년이상) 3. 성과 상여금 (지급 기준액의 0~172.5%, 연 1회) |
정액급식비( 월14만원) |
가계보전 수당 4종 1. 가족수당( 배우자 월 4만, 기타 부양가족 월 2만 4인까지) *자녀 - 첫째(월 3만), 둘째 (월 7만), 셋째 이후 (월 11만) 2. 재외공무원 자녀학비보조수당 3. 주택수당 4. 육아휴직수당 (월급의 80%, 상한 150만원~하한 70만원) *두번째 육아휴직수당 첫 3개월은 월급의 100% |
직급보조비 (8급, 9급 17.5만원, 1급 75만원) |
특수지근무수당 1종 1. 도서, 벽지, 접적지, 특수기관 근무자 월 3~6만원 |
명절휴가비(월급의 60%) |
특수 근무수당 4종 1. 위험근무수당 (위험직무근무자, 월 4~6만원) 2. 특수업무수당 3. 업무대행수당(육하휴직자 업무대행 등 월 20만원) 4. 군법무관수당 (월급의 35% 이하) |
연가보상비( 1급이하, 연가보상일수 20일내) |
초과근무수당 2종 1. 초과근무수당(5급이하 공무원 시간외, 야간, 휴일근무) 2. 관리업무수당(4급이상 공무원, 월급의 9%) |
24년도 공무원 월급을 알아보기 이전에 23년도 공무원 월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위의 표를 보면 9급의 1호봉 월급은 1,770,800원이며, 남자의 경우 군대 복무가 인정되어 3호봉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그럼 24년 공무원 월급은 23년에 비해 얼마나 인상이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4년 공무원 월급은 23년과 비교했을 때 약 10만 원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다음의 사진을 통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23년도 9급 1호봉과 24년도 9급 일호봉의 급여 차이는 약 10만 원 차이가 납니다. 다음의 표는 23년과 24년의 월급 비교입니다.
9급부터 5급의 공무원 기본급 비교
비교 | 23년도 공무원 기본급 | 24년도 공무원 기본급 | 인상 금액 |
---|---|---|---|
9급 | 1,770,800원 | 1,877,000원 | 106,200원 |
8급 | 1,805,100원 | 1,913,400원 | 108,300원 |
7급 | 1,962,300원 | 2,050,600원 | 88,300원 |
6급 | 2,186,800원 | 2,241,500원 | 54,700원 |
5급 | 2,650,700원 | 2,717,000원 | 66,300원 |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pm.go.kr
2025년 군 장교 월급 얼마? 실수령액표 + 수당 총정리 (1) | 2025.04.15 |
---|---|
준위 월급 실수령액 얼마일까? 2025 군인 급여표 정리 (0) | 2025.04.15 |
2025 부사관 월급 실수령액은 얼마? 계급별 정리표 공개 (0) | 2025.04.15 |
24년 경찰 및 소방 공무원 월급 (0) | 2024.01.05 |
24년 군인 월급 (부사관, 장교 월급인상률) (2) | 2024.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