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 혹은 트레이너라면 한 번쯤 들어본 체육 관련 끝판왕 자격증이 바로 건강운동 관리사입니다. 건강운동관리사란 의사의 판단하에 환자가 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환자의 건강증진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 재활운동을 처방해 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건강운동관리사 취득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은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시험을 주관하며, 연수기관은 연세대 외 3개의 대학교에서 진행됩니다. 아래의 표는 건강운동관리사 응시 자격입니다.
구분 | 응시자격 | 제출서류 |
---|---|---|
체육학과 | 체육 분야 전문학사 및 학사, 석사, 박사 졸업자 응시 가능 | 체육분야 전문학사 졸업 증명서 혹은 졸업 예정 증명서 |
비체육학 | 비 체육학과 학생들은 응시가 불가 단, 학점은행제도를 통해 체육학과 전문학사를 취득시 응시 가능 |
*석사 및 박사 졸업예정자는 재학증명서가 인정이 안되므로, 학사 졸업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취득절차는 3가지로 진행되며 아래와 같습니다.
필기시험 → 실기시험 및 구술시험 → 자격증 연수(200시간)
건강운동관리사의 시험 과목은 총 8과목이며, 과목별 출제 세부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주요 과목 | 과목별 세부항목 |
---|---|---|
건강 및 체력평가 | 1. 신체활동과 건강 | 건강 및 체력평가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운동참여 전 평가 | ||
3. 체력검사와 평가 | ||
병태생리학 | 1. 기본적인 질병 과정 | 병태생리학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심혈관계 질환 | ||
3. 호흡계질환 | ||
4. 척추관절질환 | ||
5. 골 질환 | ||
6. 대사계 질환 | ||
7. 신경계 질환 | ||
운동부하검사 | 1. 운동부하검사의 개요 | 운동부하검사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운동부하검사의 준비 | ||
3. 운동부하검사의 수행 | ||
4. 운동부하검사 결과의 해석 | ||
운동생리학 | 1. 운동생리학의 개관 | 운동생리학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에너지 대사와 운동 | ||
3. 신경조절과 운동 | ||
4. 골격근과 운동 | ||
5. 내분비계와 운동 | ||
6. 호흡 및 순환계와 운동 | ||
7. 환경과 운동 | ||
기능해부학 | 1. 기능해부학의 기초 | 기능해부학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근골격계의 이해 | ||
3. 인체역학 | ||
4. 자세와 보행의 인체역학 | ||
스포츠심리학 | 1. 스포츠심리학의 개관 | 스포츠 심리학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인간운동행동의 이해 | ||
3. 스포츠수행의 심리적 요인 | ||
4. 스포츠수행의 사회 심리적 요인 | ||
5. 운동심리학 | ||
6. 스포츠심리상담 | ||
운동상해 | 1. 스포츠 손상의 예방 | 운동상해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스포츠 손상의 위험관리 | ||
3. 스포츠 손상의 기전 | ||
4. 스포츠 손상의 관리기술 | ||
5. 스포츠 손상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 ||
6. 스포츠 손상의 재활운동 | ||
운동처방 | 1. 운동처방의 기초이론 | 운동처방 세부항목 바로가기 |
2. 체력향상을 위한 운동처방 | ||
3. 생활습관병과 운동처방 | ||
4. 특수대상자의 운동처방 |
건강운동관리사 필기시험은 총 8과목으로 진행되는 만큼 난도가 높은 시험입니다. 특히 기능해부학, 병태생리학 과목을 수험생들이 어려워하는 과목입니다. 독학보다는 인터넷 강의 혹은 현장 강의를 통해 전체적인 개념을 잡고 준비하면 충분히 합격 가능합니다.
실기 및 구술시험의 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강운동관리사 연수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수기간 및 방법은 아래의 표를 참조해 주세요.
연수과목 | 내용 | 연수시간 |
---|---|---|
스포츠윤리 | 스포츠 인권 / 지도자 및 선수, 심판윤리 / 운동지도 윤리 / 스포츠 분쟁 | 120시간 |
건강 및 체력측정평가 운동부하검사 실무 |
건강 평가, 체력 및 운동능력 평가 | |
건강 및 체력 증진 프로그램 계획 수립, 운영 |
건강평가, 체력 및 운동능력 평가, 건강 · 체력증진 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동기유발 및 행동변화, 정신건강 관리, 운동과 영양, 안전사고 예방과 관리 | |
만성퇴행성질환, 특수대상자에 대한 운동처방 및 프로그램 운영 |
만성질환자 운동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심혈관질환자 운동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기타대상자 운동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 |
운동손상 관리 지역사회 건강운동 |
운동손상 평가 실습, 운동손상 재활 실습, 기능성운동, 지역 건강운동 활성화 | |
행정관리 실무 | 체육관련 법(령)의 이해 | |
현장실습 | 병원 - 30시간 / 보건소 - 30시간 / 피트니스센터 - 20시 | 80시간 |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의 기출문제는 국민체육진흥공단 홈페이지에 연도별로 나와 있으며, 필기시험을 보기 전에 모든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의 파일은 23년도 필기시험이며, 연도별 기출문제 다운로드는 아래에 링크 달아 두겠습니다.
유소년 스포츠 지도사 자격증 취득방법 알아보기(응시자격, 기출문제) (0) | 2023.11.06 |
---|---|
체육학과 노인스포츠지도사 자격증 취득방법 확인하기(응시자격, 기출문제 다운로드) (1) | 2023.11.04 |
스포츠 경영관리사 자격증 취득 방법(응시자격 및 기출문제 취업정보) (0) | 2023.11.01 |
고소득 자격증 총 정리(시험 정보 및 연봉) (0) | 2023.10.31 |
공인회계사(CPA) 자격증 취득방법 총정리(응시자격 및 기출문제, 학점이수) (0) | 2023.10.30 |